본문 바로가기

Windows Server

Windows 2008 Remote App

반응형

원격지의 어플리케이션을 로컬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웹 환경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Citrix의 XenApp이 대표적이며 VDI 환경에서 서버의 리소스만을 가져와 사용할 수 있는 VMware의 ThinApp이 있고 윈도우즈 상에서 사용하는 Microsoft의 RemoteApp이 있습니다.

 

이들 중 Microsoft의 RemoteApp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RemoteApp은 터미널을 통한 접속을 허용하는 터미널 서비스입니다.

Windows 2008의 역할을 통해 RemoteApp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Azure 에서도 RemoteApp을 서비스 하고 있지요^^ 점점 마소의 서비스가 Azure로 통합되어가는 느낌이네요.

https://www.remoteapp.windowsazure.com/ 

 

아래 RemoteApp을 구성하는 모든 인프라는 vSphere5.5 환경에서 진행되었습니다.

 

 

1. 역할추가로 들어가서 원격데스크톱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2. 역할에 대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Windows Server 2008 R2로 넘어가면서 부터 서비스의 이름과 인터페이스가 조금씩 변경되었습니다.

다음은 Microsoft Technet에서 설명하는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의 새로운 기능입니다.

 업데이트 날짜: 2010년 7월

적용 대상: Windows Server 2008 R2

이전에 터미널 서비스라고 하던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는 사용자가 회사 네트워크 내부 및 인터넷에서 데이터 센터에 있는 세션 기반 데스크톱, 가상 컴퓨터 기반 데스크톱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술을 제공합니다.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는 고품질 데스크톱 또는 응용 프로그램 환경을 지원하고, 관리되는 장치 또는 관리되지 않는 장치의 원격 사용자가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Windows Server 2008 R2에서는 모든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역할 서비스의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 다음 표에서는 각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역할 서비스의 이전 이름과 새 이름을 모두 보여 줍니다.

이전 이름

Windows Server 2008 R2에서의 이름

터미널 서비스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터미널 서버

RD 세션 호스트(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

TS 라이선스(터미널 서비스 라이선스)

RD 라이선싱(원격 데스크톱 라이선싱)

TS 게이트웨이(터미널 서비스 게이트웨이)

RD 게이트웨이(원격 데스크톱 게이트웨이)

TS 세션 브로커(터미널 서비스 세션 브로커)

RD 연결 브로커(원격 데스크톱 연결 브로커)

TS 웹 액세스(터미널 서비스 웹 액세스)

RD 웹 액세스(원격 데스크톱 웹 액세스)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역할 서비스 이름뿐 아니라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관리 도구의 이름도 변경되었습니다.

 

이전 이름 Windows Server 2008 R2에서의 이름

터미널 서비스 관리자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관리자

터미널 서비스 구성

원격 데스크톱 세션 호스트 구성

TS 게이트웨이 관리자

원격 데스크톱 게이트웨이 관리자

TS 라이선스 관리자

원격 데스크톱 라이선싱 관리자

TS RemoteApp 관리자

RemoteApp 관리자

 

 

 

3. 인증방법에 대해서 설정합니다.

 

 

4.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4. 환경을 구성합니다.

 

 

 

 

5. RemoteApp 환경이 구성되었습니다.

 

 

6. RemoteApp으로 사용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합니다.

 

 

7.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합니다.

 

 

8. Web을 통해 접근이 가능합니다.

 

 

 RemoteApp은 RDP를 기반으로 실행됩니다.

 

 

 

8. 호환성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네요.

올 여름 새로 출시 될 Windows10의 Technical Preview 에서도 정상 구동이 가능한지 확인해 봤습니다.

새로운 브라우저인 Edge에서는 지원하지 않고 있네요.

 

 혹시나 해서 크롬을 설치 후에 구동해 보았지만 크롬도 지원하지 않습니다.

 

 

 

9. 정책을 통한 배포도 가능합니다.

실제 사용자가 RemoteApp환경을 사용하기엔 Web클라이언트는 뭔가 귀찮아보입니다. 간단하게 아이콘 클릭만으로 실행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AD의 그룹정책관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배보가 가능한데요. RemoteApp에서 Windows Installer 패키지를 만들어 이 파일을 그대로 배포가 가능합니다. 배포의 방법에는 아래 두가지가 있습니다.

 

  • 지정됨: 사용자가 다음에 컴퓨터에 로그온하거나(사용자 구성을 선택한 경우) 컴퓨터가 다시 시작될 때(컴퓨터 구성을 선택한 경우) MSI 패키지가 자동으로 배포됩니다.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 게시됨: MSI 패키지를 실행하려면 사용자에게 제어판으로 이동하여 프로그램 추가/제거 화면을 열고 네트워크에 프로그램을 추가/설치하는 옵션을 선택하도록 지시합니다. OfficeScan 클라이언트 MSI 패키지가 표시되면 사용자가 OfficeScan 클라이언트 설치를 계속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구성 또는 사용자 구성을 편집하여 배포할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Tip: 컴퓨터에 로그온한 사용자와 관계없이 MSI 패키지 설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려면 사용자 구성 대신 컴퓨터 구성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프트웨어를 할당하려면 서버에 배포 지점을 만들어야 합니다. 배포 지점을 만들려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십시오.

  1. 서버 컴퓨터에 관리자로 로그온합니다.
  2. 배포할 VPModule.msi 파일을 저장할 공유 네트워크 폴더를 만듭니다. 이 폴더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배포 지점입니다.
  3. 배포 패키지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공유 네트워크 폴더에 권한을 설정합니다. 다음 액세스 권한을 지정합니다.
    • Administrators
    • Authenticated users
    • Domain users
    선택적으로 배포 지점에 대해 분산 파일 시스템(DFS)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융통성을 제공하므로 이렇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버를 바꾸어야 하는 경우에 배포 지점의 가용성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여 더 많은 융통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DFS를 사용하면 여러 사이트에 쉽게 배포 지점을 만들 수 있습니다. DFS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Microsoft 웹 사이트를 참조하십시오.

 

다음 영상으로 어떻게 배포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참고:
http://www.microsoft.com/windowsserver2008/ko/kr/rds-product-home.aspx
http://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dd560650(WS.10).aspx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