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ndows Server

윈도우 서버 / Windows Server 라이센스 구매 / VM의 윈도우 라이센스 정책

반응형

Microsoft의 Windows 서버 제품을 사용하는 많은 분들의 고민이 바로 라이센스 정책일텐데요.


2020년 10월을 기준으로 윈도우 서버 라이센스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현재 판매되는 Windows Server는 2019버전이며 다운그레이드를 통해 2016과 2012 버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Windows Server의 에디션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Windows Server Datacenter

2. Windows Server Standard


Datacenter 에디션의 경우 물리 호스트 및 VM을 모두 포함합니다.

Standard 에디션의 경우 최대 2개의 VM을 포함하며, 2개 초과 시 2개 마다 라이센스를 추가로 구매해야 합니다.


하이퍼스레딩(SMT:Hyperthreading)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오직 물리 CPU의 Core 수 만큼만 계산됩니다.


3. Windows Server Essentials

이 라이센스의 경우 서버 대수당 구매 가능한 라이센스이며 사용자 25인, 서버대수 50대 이하의 소기업에서 사용 적합한 라이센스입니다.

이 글의 본문에서 자세한 설명은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


Windows Server 두 에디션의 라이센스는 물리 CPU의 Core 수 만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사용하는 서버가 2CPU에 각 소켓당 10Core CPU일 경우 총 20코어 만큼이 비용을 지불하여야 합니다.


라이센스는 2코어, 4코어, 16코어 단위로 구매가 가능합니다.

예를들어 2CPU에 소켓당 11Core CPU일 경우 총 22코어 라이센스가 필요한데

16코어 1개, 4코어 1개, 2코어 1개를 구입하여 총 22코어 라이센스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4코어와 2코어는 추가 구입 시에만 가능하며 라이센스 구매의 시작은 16코어 부터 가능합니다.

간혹 서버가 1CPU에 8Core 일 경우에는 4코어 라이센스를 두개를 사는게 아닌 16코어 라이센스 하나를 구매해야 하는 것이죠.

추가 라이센스 (2코어 및 4코어)에는 미디어와 제품 키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 라이센스에 Combine 되는 형식입니다.




반응형